반응형 SMALL 전체 글222 ⚡ 전기는 우리 집까지 어떻게 올까? – 발전소부터 콘센트까지, 전력의 여정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전기. 콘센트에 플러그만 꽂으면 불이 켜지고, 전자제품이 작동합니다. 하지만 이 전기가 어떻게, 어디서부터 와서 우리 집까지 도달하게 되는지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기는 단순히 '어딘가에서 만들어져 오는 것'이 아닙니다. 발전소에서 시작해 고압 송전망을 타고, 수많은 변전소를 거쳐, 복잡한 배전 계통과 보호장치를 통과해 비로소 우리의 집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가 만들어지고 집까지 오는 전 과정을 단계별로, 그림과 함께 자세히 설명합니다.🏭 1단계: 발전소 – 전기의 시작점전기는 먼저 다양한 방식의 발전소에서 만들어집니다. 대표적인 발전소는 다음과 같습니다:수력 발전소: 산이나 댐에서 물의 낙차를 이용해 수차(물터빈)를 돌리고, 그 회전 에너.. 2025. 4. 4. 🔌 한전의 공급방식은 TN-C? 고압과 저압에서의 접지 방식 제대로 이해하기 현장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한전에서 공급하는 건 TN-C 방식이라고 하던데, 이건 왜 그런 거죠?”“고압선은 3상 3선식이라는데, TN 방식이랑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이 질문은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접지 방식’, ‘배전방식’, ‘전압 레벨’이라는 서로 다른 개념이 얽혀 있는 복합적인 주제입니다. 오늘은 이 혼란을 명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TN, TT, IT 접지 방식이란?▷ 기준 규정IEC 60364 (저압 전기설비의 설계와 시공 기준)KEC (한국전기설비규정, 2021년 개정판)▷ 용어 정의TN, TT, IT는 모두 저압(AC 1000V 이하) 전기설비에서 보호접지 방식을 분류하는 체계입니다.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분류의미특징TN계통전원측 중성점.. 2025. 4. 4. 📘 피뢰시스템, 언제 설치해야 하나? 🏗️ 서론: 낙뢰 보호,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전기설비가 설치된 건축물이나 구조물이 늘어나면서, 낙뢰로 인한 피해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제330장을 통해 피뢰시스템의 설치 대상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중 **330.1 ‘적용대상’**은 실무에서 가장 자주 검토되는 항목이며, 설계자나 감리자는 이 기준에 따라 피뢰시스템의 필요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그러나 조문에서 언급된 **"전기전자설비가 설치된 건축물·구조물"**이라는 표현은, 실제 해석과 적용에 있어 모호함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기준을 실무적으로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태양광 발전소가 이 기준에 따라 피뢰시스템 설치 대상이 되는지까지 분석합니다.📑 KEC 제3.. 2025. 4. 2. 글로벌접지시스템과 등전위본딩, 접지계산서 생략에 관한 내용 글로벌접지시스템 시 등전위본딩 관련 이슈에 대해 챗gpt를 통하여 해석을 하였는데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이니 참조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글로벌접지시스템(Global Earthing System)과 등전위본딩(Equipotential Bonding)**의 상호 관계, 그리고 현장에서 “개별접지(분리접지)를 택해 등전위본딩(특히 보조 보호등전위본딩)을 면책받으려는 경향”에 대한 문제점을 다룹니다. 또한 국내(KEC) 및 해외(IEC 60364, IEC 62305, NEC/NFPA 70 등) 표준·규정을 참조하여, 왜 이러한 ‘간소화 시공’이 위험 요소를 내포하며 장기적으로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1. 글로벌접지시스템과 등전위본딩1.1 글로벌접지시스템의 개념정의: 근접·인접한 여러.. 2025. 3. 18. 글로벌접지시스템 해석 최근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배포한 글로벌 접지 시스템 관련 공문이 내용이 어렵고 해석이 분분하여, 담당자마다 이해가 조금씩 다른 상황입니다. 이에 챗GPT를 활용해 내용을 최대한 명확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혹시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나 더 깊이 있는 설명이 필요하시면 댓글을 남겨주시면, 챗GPT를 통해 보다 심도 있는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제가 정리한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은 한국전기안전공사(KESCO) 공문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정에 따른 검사업무처리방안 알림」의 주요 사항을 자세히 해석하고, 이어서 그동안 주고받은 질의응답(Q&A) 형식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1. 공문 내용 자세한 해석1) 공문 개요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4-749호 (2024.10.24... 2025. 3. 18. 이전 1 2 3 4 ··· 45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