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안전

감전의 원인 및 대책

by 협진이피씨 2024. 12. 16.
728x90
반응형
SMALL

[서론]
감전사고는 전기와 관련된 모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치명적인 위험 요소 중 하나이다. 감전은 인체 내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근육 수축, 화상, 심장 이상(심실세동) 등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사고이다.

 

감전사고의 원인은 크게 설비적 측면(절연 결함, 접지 불량 등)과 인적 요인(휴먼 에러)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도 다각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론]

  1. 감전의 주요 원인
    1. 절연 파괴(Insulation Failure)
      • 전선, 케이블, 기기 내부의 절연층이 노후화, 충격, 열화, 화학 반응 등에 의해 손상되어 도전부가 노출될 때 감전 위험 급증.
      • 고온·습도·오염 등 환경적 요인도 절연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 산업 현장에서 유지보수 부실, 과부하 운전 등에 의해 절연 파괴가 가속화되기도 한다.
    2. 접지(PE선) 결함 및 보호도체 본딩 불량
      • 고장보호(Fault Protection) 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접지선(PE선)이 단선되거나 접촉 불량일 경우, 누설전류나 지락 발생 시 안전하게 대지로 전류가 흘러가지 못해 사람에게 치명적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 설비·기기의 노출도전부(금속 외함 등)를 적절히 본딩(Earthing & Bonding)하지 않으면 이질적인 전위차가 형성되어 감전 위험이 높아진다.
    3. 누전차단기(RCD) 미설치 또는 오동작
      • RCD(Residual Current Device) 또는 ELCB(Earth Leakage Circuit Breaker)는 설비에서 일정 이상의 누설전류가 발생할 때 즉시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다.
      • 이 장치가 없는 경우 혹은 정기 점검 미비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지락 시 인체에 상당한 전류가 흐를 수 있어 감전 위험이 증대된다.
    4. 휴먼 에러(Human Error)
      • 전원을 확실히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검·수리·개방 등 작업을 하는 행위.
      • 차단기 OFF 표시에만 의존하고 실제로 전원이 해제되었는지 전압 측정 없이 바로 작업하는 습관적 실수.
      • 안전장비(절연 장갑, 안전화, 절연공구 등) 미착용이나 부주의로 인한 직접 접촉 발생.
    5. 정전기(Static Electricity) 방전
      • 산업설비, 화학공장, 분진 환경 등에서는 정전기가 축적되었다가 순간적으로 방전되면서 감전에 준하는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 특히 폭발성 가스나 분진이 있는 환경에서 정전기 스파크는 화재·폭발사고를 일으키기도 하므로 매우 위험하다.
  2. 감전사고 방지 대책
    1. 절연 강화 및 정기 점검
      • IEC/KEC 등 표준에 맞는 절연 수준(두께·재질 등)을 확보하고, 습기·오염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절연 보강(드라이룸, 실리카 겔, 코팅 등)을 적용.
      • 정기적인 절연저항 측정(메거 테스트 등)과 육안점검을 통해 절연 열화를 사전에 발견·교체한다.
    2. 접지 및 등전위 본딩(Earthing & Bonding)
      • 건축물의 주 접지단자(MET)와 배관, 철골 등 주요 금속체를 등전위 본딩으로 연결하여 각 부분 간 전위차 발생을 최소화한다.
      • 노출 도전부(금속제 외함, 케이싱 등)에 PE선(보호도체)을 연결하여 고장 시 신속히 전류가 대지로 흐르도록 유도.
      • 접지저항 감소를 위해 접지봉·접지판 등을 적절히 배치하고, 필요한 경우 접지 개선재(화학접지) 등을 활용한다.
    3. 누전차단기(RCD) 설치 및 정기 시험
      • 일반적으로 30mA급 RCD는 인체에 치명적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충분히 민감한 보호 수준으로 평가된다.
      • 정기적으로 테스트 버튼을 눌러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시 즉시 교체·수리한다.
    4. 안전 작업절차 및 교육
      • 전원차단 후 Lockout-Tagout(LOTO) 절차를 반드시 실행해 무단 재폐로(재점검)가 없도록 한다.
      • 신호 체계(‘작업 중’, ‘전원 차단’ 등)를 명확히 하며, 모든 작업자에게 정기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절연 장갑, 절연 공구, 방염복 등 개인 보호장구(PPE)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게끔 습관화한다.
    5. 정전기 방지
      • 접지 매트, 정전기 방지 스트랩 등을 활용해 설비와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장치를 설치한다.
      • 공장·창고 등 대규모 공간에서는 습도를 50~60%로 유지해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하며, 화재위험이 있는 곳에서는 방폭 등급(BTEx) 자재를 사용하는 등 선제조치를 취한다.

[결론]
감전사고는 전기설비 분야에서 가장 심각한 재해 중 하나이며,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절연 상태 유지, 신뢰성 높은 접지 및 본딩, 누전차단기 설치, 정전기 제거 대책,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수칙 준수와 교육이 필수적이다.

 

특히 관리·감독·테스트를 통한 조기 결함 발견과 신속한 조치가 핵심이며, 이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 감전위험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