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극 매입 방식 완벽 분석 – 지중 매입 vs. 콘크리트 매입, 전기적 이론부터 시공·부식·KEC 규정까지
서론: 접지, 왜 중요한가?
안정적인 전기설비를 유지하는 데 있어 **접지(Grounding)**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올바른 접지는 감전 사고 방지, 서지 보호, 전자기 간섭 억제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접지극을 설치해야 합니다.
접지극의 매입 방식은 크게 **지중 매입(Soil-Buried Grounding)**과 **콘크리트 매입(Concrete-Encased Grounding, Ufer Ground)**으로 구분됩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일까요? 전기적 원리, 시공 방법, 부식 위험, KEC(한국전기설비규정) 기준까지 종합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접지극 매입 방식의 전기적 원리
1.1 접지 저항과 매입 방식의 관계
접지의 성능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접지 저항(Ground Resistance, RgR_g)**입니다. 접지 저항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표현됩니다.

✅ 여기서:
- Rg : 접지 저항(Ω)
- ρ : 토양 또는 콘크리트의 저항률(Ω·m)
- L : 접지극 길이(m)
- d : 접지극 직경(m)
📌 접지 저항을 낮추려면?
- 접지극의 길이(L)를 길게 하거나
- 병렬 연결하여 접지 면적을 넓히거나
- 토양 저항률(ρ)이 낮은 환경에서 설치해야 합니다.
1.2 지중 매입 vs. 콘크리트 매입의 전기적 특성 차이
항목 | 지중 매입 (Soil-Buried) | 콘크리트 매입 (Concrete-Encased) |
전기적 원리 | 토양 저항률에 따라 접지 저항 변화 | 콘크리트 내부를 통해 전류 확산 후 토양으로 전달 |
토양 저항 영향 | 고저항 토양에서는 접지 저항 증가 | 콘크리트의 낮은 저항률로 토양 저항의 영향 감소 |
전류 확산 특성 | 접지봉 중심으로 방사형 확산 | 콘크리트가 확산층 역할을 하며 접지 면적 증가 |
접지 성능의 일관성 | 토양 수분량에 따라 변동 가능 | 비교적 일정한 저항 유지 |
✅ 결론:
- 토양 저항률이 낮다면 지중 매입 접지극이 효과적입니다.
- 고저항 토양(건조 지대, 암반 지대)에서는 **콘크리트 매입 접지극(Ufer Ground)**이 더 낮은 접지 저항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시공 측면에서의 비교
2.1 지중 매입 접지극 – 시공 방법 및 유의사항
✅ 시공 방법:
- 접지봉(ground rod), 접지판(ground plate), **접지선(mesh/grid)**을 직접 토양에 매설
- 매설 깊이: 0.75m 이상(KEC 기준)
- 토양 저항이 높으면 접지 보강재(Bentonite, 소금, 화학 접지제 등) 추가
⚠️ 시공 시 유의할 점:
- 겨울철 동결층을 고려하여 매설 깊이를 조정
- 접지봉을 병렬로 연결하여 접지 성능을 높이는 방법 고려
- 산성 토양에서는 부식 방지를 위한 특수 코팅 또는 재료 선택 필수
2.2 콘크리트 매입 접지극 – 시공 방법 및 유의사항
✅ 시공 방법:
- 건물 기초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접지극으로 활용
- 철근 간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용접 또는 특수 클램프 사용
- 접지선과 연결하기 위해 철근을 외부로 연장
⚠️ 시공 시 유의할 점:
- 균열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품질 관리 중요
- 접속부 부식 방지를 위한 절연 보호 필수
- 건조한 콘크리트는 저항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수분 유지 고려
3. 부식 환경에서의 차이점
3.1 지중 매입 접지극의 부식 위험
📌 토양의 pH, 염분 농도에 따라 부식 위험 증가
- 산성 토양(pH < 5.5): 구리 도체 사용 권장
- 고염도 환경(해안가, 공업지대): 특수 코팅된 접지봉 사용 필수
✅ 부식 방지 대책:
- 부식 저항이 높은 스테인리스 접지봉 사용
- 화학 접지제를 활용하여 토양 저항률 낮추기
3.2 콘크리트 매입 접지극의 부식 위험
📌 콘크리트의 알칼리성(pH 12~13)이 철근 부식을 방지
- 다만, 균열이 발생하면 수분과 공기가 침투하여 부식 가능
- 접속부 노출 시 부식 위험 증가
✅ 부식 방지 대책:
- 철근 연결부 방청 처리
- 콘크리트 균열 방지 설계
4. KEC 규정에 따른 접지극 설치 기준
📌 KEC 142.5 기준에 따르면, 접지극 설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접지극 설치 방법 (KEC 기준):
- 콘크리트 매입 접지극 (기초 접지극 포함)
- 토양에 매설된 접지극
- 건축물의 철골을 활용한 접지
- 지중 금속 배관 활용 접지
✅ 접지극의 매설 깊이:
- 최소 0.75m 이상
- 부식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보호 조치 필수
5. 결론: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 지중 매입 접지극이 적합한 경우
- 토양 저항률이 낮고 환경이 안정적인 지역
- 유지보수를 쉽게 해야 하는 경우
- 독립적인 접지가 필요한 설비
🏗 콘크리트 매입 접지극이 적합한 경우
- 건축물과 접지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때
- 고저항 토양(암반, 건조한 지역)에서 접지 저항을 낮출 필요가 있을 때
- 부식 위험이 높은 환경(해안가, 공업 지역)
마무리 – KEC 규정을 준수하며 최적의 접지 설계 수행
접지는 단순한 전기 설비가 아니라 안전성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KEC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현장 조건에 맞는 최적의 접지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