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뢰접지

🔌 한전의 공급방식은 TN-C? 고압과 저압에서의 접지 방식 제대로 이해하기

by 협진이피씨 2025. 4. 4.
728x90
반응형
SMALL

 

현장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전에서 공급하는 건 TN-C 방식이라고 하던데, 이건 왜 그런 거죠?”
“고압선은 3상 3선식이라는데, TN 방식이랑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이 질문은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접지 방식’, ‘배전방식’, ‘전압 레벨’이라는 서로 다른 개념이 얽혀 있는 복합적인 주제입니다. 오늘은 이 혼란을 명확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TN, TT, IT 접지 방식이란?

▷ 기준 규정

  • IEC 60364 (저압 전기설비의 설계와 시공 기준)
  • KEC (한국전기설비규정, 2021년 개정판)

▷ 용어 정의

TN, TT, IT는 모두 저압(AC 1000V 이하) 전기설비에서 보호접지 방식을 분류하는 체계입니다.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 의미 특징
TN계통 전원측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며, 노출도전부는 그 지점과 연결된 보호도체로 접속 PE 도체 있음
TT계통 전원측 중성점은 접지, 노출도전부는 별도의 독립된 접지극을 사용 전원측 접지와 분리된 보호접지
IT계통 전원측 중성점은 비접지 또는 고저항 접지, 노출도전부는 접지 정전 발생 없이 1선 지락 시 계속 운전 가능

▷ TN계통의 세부 분류

계통설명
계통 설명
TN-C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하나의 도체(PEN)로 구성
TN-S N과 PE가 처음부터 완전히 분리된 구성
TN-C-S 처음에는 PEN 도체로 오다가, 중간 또는 수용가 내에서 N과 PE로 분리됨

⚡ 2. 한전의 공급 방식: TN-C 또는 TN-C-S

▷ 왜 TN-C라고 부르는가?

한전에서 저압을 공급할 때대부분 TN-C 또는 TN-C-S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한전의 변압기 2차측에서 중성점을 접지합니다.
  • 중성선과 보호도체가 하나의 PEN 도체로 구성되어 수용가로 들어갑니다.
  • 수용가에서는 이 PEN 도체를 N선과 PE선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므로, TN-C-S 구조가 됩니다.

📎 관련 규정

  • KEC 444.3.1.1: TN계통에서는 보호도체는 전원측 중성점 접지 지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
  • KEC 540.3.3: TN-C-S계통은 PEN을 분리할 경우, 이 분리 지점에서 접지극 설치 및 등전위본딩 필수.

⚠️ 3. 고압(22.9kV)의 공급 방식은 TN이 아니다!

▷ 개념 혼동 주의!

고압 배전에서는 3상 3선식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22.9kV-Y 결선에서 중성점은 접지되지만, 중성선(N)은 공급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TN, TT, IT라는 접지 방식 구분은 “저압” 계통에서만 적용됩니다.

▷ 고압 계통은 어떻게 분류하나?

고압 이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항목 내용
계통 구성 예: 3상 3선식, 3상 4선식
접지 방식 중성점 직접 접지, 비접지, 소호리액터 접지 등
결선 방식 델타(Δ), 와이(Y), 또는 혼합 결선

📎 참고 규정

  • KEC 312.2.1.1: 22.9kV-Y계통은 변압기 중성점을 접지하여, 3상 3선으로 수용가에 공급함.
  • KEC 444.2: 고압 이상에서는 TN/TT/IT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중성점 접지 방식과 절연 레벨로 설계함.

🛠️ 4. 실무 적용 팁

✅ 저압 수배전반 설계 시

  • PEN 도체가 들어온다면, 수배전반 내에서 PE와 N을 분리하고 PE를 접지해야 합니다.
  • 이때 **수용가의 접지는 보조 접지(또는 다중 접지)**로 보며, 전원측과 등전위 유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접지저항 기준: TN 계통에서는 보호 접지저항이 작을수록 좋고, 통상 10Ω 이하를 목표로 합니다.

✅ 고압 수전 설비 설계 시

  • 고압 변압기의 중성점 접지 여부, 변류기 절연, 차단기 보호 방식 등은 “접지계통 설계”와 “절연협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 이때 TN, TT 등의 저압 용어로 고압을 분류하는 것은 오류입니다.

📚 결론

구분TN 적용 여부설명
구분 TN 적용 여부 설명
한전 고압 공급 (22.9kV-Y) ❌ 적용 불가 중성점 접지된 3상 3선식, 중성선 없음
한전 저압 공급 (380/220V) ✅ 적용 가능 TN-C 또는 TN-C-S 방식으로 PEN 도체 공급

🔍 참고 자료

  • 한국전기설비규정(KESC/KEC), 2021 개정판
  • IEC 60364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전기기술사 및 전기설계사례집

 

 

728x90
반응형
LIST